맨위로가기

게오르기 가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가폰은 1870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러시아 정교회 사제로, 노동 운동에 참여하여 '피의 일요일' 사건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톨스토이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신학교에서 갈등을 겪었으며, 사제 서품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빈민 구제 활동을 펼쳤다. 노동자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단체를 조직하고, 차르에게 청원서를 제출하기 위한 시위를 이끌었으나,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인해 해외로 망명했다. 이후 러시아로 돌아와 경찰과의 연루 의혹을 받다가 1906년 암살당했다. 주요 저서로는 '차르에게 보낸 청원서'와 자서전 '나의 인생 이야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 거주한 러시아인 - 세르게이 스크리팔
    러시아의 전직 군 정보국 대령 세르게이 스크리팔은 영국 비밀 정보국에 포섭되어 간첩 활동을 한 혐의로 러시아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첩보 교환으로 석방 후 영국으로 이주, 신경작용제 노비촉에 의해 독살 시도를 당했다.
  • 영국에 거주한 러시아인 - 올레크 고르디옙스키
    올레크 고르디옙스키는 1938년생으로, 소련 KGB에서 근무하며 이중 스파이로 활동하다가 MI6에 정보를 제공하고 소련에서 탈출하여 냉전 시대 핵 대결을 막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니콜라이 야폰스키
    니콜라이 야폰스키는 일본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며 일본 정교회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인 성직자 양성에 힘썼으며, 러일 전쟁 중 구호 활동을 펼친 러시아 제국 출신 정교회 사제이다.
게오르기 가폰
기본 정보
게오르기 가폰
게오르기 가폰
원어 이름러시아어: Гео́ргий Аполло́нович Гапо́н
출생 이름게오르기 아폴로노비치 가폰
출생1870년 2월 17일
출생지빌리키, 폴타바 현, 러시아 제국
사망1906년 4월 10일
사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 원인암살
국적러시아 제국
직업성직자, 정치 운동가
종교동방 정교회
소속 교회러시아 정교회
배우자베라 (사망: 1898년경)
가폰 서명
가폰 서명
경력
활동 기간해당사항 없음
학력해당사항 없음
봉사 교회해당사항 없음
주요 직책해당사항 없음
기타 정보
관련 인물해당사항 없음
웹사이트해당사항 없음

2. 초기 생애

게오르기 아폴로노비치 가폰은 1870년 2월 17일 러시아 제국 폴타바 현(현재 우크라이나) 빌리키 마을에서 코사크 출신 아버지와 지역 농민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었다.[1] 가폰의 아버지 아폴론 표도로비치 가폰은 정규 교육을 받았고, 빌리키에서 선출된 마을 촌장 겸 서기로 일했다.[2] 그의 어머니는 문맹이었지만 독실한 종교인이었고, 아들을 러시아 정교회의 규범과 전통에 따라 적극적으로 키웠다.[3]

가폰은 초등학교에서 우수한 학생이었고, 폴타바의 하위 신학교에 입학 제안을 받았다.[4] 이 학교의 마지막 해에 가폰은 러시아 작가의 헌신적인 추종자인 그의 강사 중 한 명을 통해 처음으로 레프 톨스토이의 급진적인 철학적 가르침을 접했다.[5] I. M. 트레구보프는 가폰을 학교에서 가장 뛰어난 학생 중 한 명으로 여겼는데, 그는 진지하고 지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학업에 부지런하고 호기심이 많았다.

하위 신학교를 졸업한 후 가폰은 Полтавская духовная семинария|폴타바 신학교ru에 입학하여 다른 지역 추종자들의 지도를 받아 톨스토이의 사상을 계속 연구했다. 가폰은 톨스토이주의가 빈민과 함께 일하는 것을 강조하고, 공식적인 교회의 형식적이고 위계적인 관행에 대한 철학적 비판에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일부 신학교 관계자들과 갈등을 겪게 되었고, 그들은 그의 교육 장학금을 철회하겠다고 위협했다. 가폰은 더 이상의 지원을 거부하고 개인 교사로 일하여 자신의 교육비를 지불하려 함으로써 이러한 위협에 맞섰다.

가폰은 장티푸스에 걸려 한동안 병상에 누워 개인 교사로 생계를 유지하고 효과적으로 학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는 사제가 되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대신 톰스크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사가 되어 고통받는 빈민들에게 더 큰 봉사를 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신학교가 그에게 좋지 않은 성적을 부여하여 사실상 더 이상의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없게 되면서 그의 계획은 좌절되었다.

23세의 가폰은 폴타바에서 젬스트보 통계학자로 일자리를 얻었고, 개인 교사로 일하면서 수입을 보충했다. 그는 개인 교습을 하던 집에서 지역 상인의 딸을 만났다. 그러나 그의 제한된 고용 전망 때문에 가족은 결혼에 반대했고, 이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그는 다시 사제가 되려고 했다. 그는 과거의 행동에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 교회의 기대를 충족시킬 것을 약속하며 폴타바의 Иларион (Юшенов)|힐라리온 (유셰노프)|lt=힐라리온ru 주교에게 호소했다. 주교는 그의 호소에 감동하여 가족에게 중재하여 부부의 결혼을 허락받았다.

가폰은 사제직을 빠르게 밟아, 1년 동안 교회 시편 독자 자리를 차지했고, 그 후 단 하루 동안 ''형식적인'' 부제 승진을 거쳐 폴타바 묘지 교회의 사제가 되었다. 가폰의 봉사는 혁신적이고 비공식적이었으며, 그의 교회는 급속도로 성장하여 다른 더 형식적인 지역 교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들의 사제들은 그를 비난하는 불만을 제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폰은 그의 지위에서 주교의 지원을 계속 누렸고 그의 삶에 대체로 만족했다.

3. 사제 서품과 상트페테르부르크 생활

가폰은 아내와 연달아 두 아이를 낳았지만, 아내는 1898년 둘째 아들 출산 후 병을 얻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가폰은 폴타바를 떠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1] 일라리온 주교는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 성 시노드의 검찰관에게 가폰이 표준 신학원 자격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 신학 아카데미 입학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강력히 추천했다.[1] 가폰은 67명의 지원자 중 16위를 차지했고, 이후 학교의 최고 유망주에게 주어지는 장학금을 받았다.[1] 그는 1898년 학교에서 정규 수업을 듣는 235명의 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1]

게오르기 가폰이 다녔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신학 아카데미는 러시아 정교회의 4개 종교 아카데미 중 하나였다. 이 학교는 신학자 양성 기관이었다.


가폰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에서 1학년 때 정교회 정신의 종교적, 도덕적 계몽 협회를 통해 교회를 위한 선교 사업에 참여했다.[1] 이 활동의 일환으로 가폰은 산업 공장, 식당, 숙소에서 종교 토론을 진행하는 것을 도왔으며, 이를 통해 도시의 프롤레타리아와 처음으로 긴밀한 접촉을 갖게 되었다.[1] 긴장된 가폰은 선교 사업의 부담과 학업의 요구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껴 심각한 우울증에 빠졌고 수업을 빼먹기 시작했다.[1] 그는 병가를 내고[1]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거의 1년을 크림반도에서 보냈다.[1]

정교회의 엘리트 신학 훈련 기관 중 하나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신학 아카데미의 학생으로서 가폰의 지위는 타우리다의 니콜라이 주교에게 호감을 샀고, 니콜라이 주교는 가폰이 수도 서약을 하지 않고도 세바스토폴 근처의 수도원에서 살도록 허락했다.[1] 크림반도에서 그는 톨스토이 운동의 여러 저명한 회원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모두 정교회를 강하게 비판했고 가폰에게 사제직을 그만둘 것을 촉구했다.[1] 가폰은 이 충고를 거절하고, 대신 1899년 11월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학업에 복귀하여 새롭게 기운을 얻었다.[1]

가폰은 1900년 상트 올가 어린이 고아원의 종교 교사가 되었고, 실업으로 가난해진 공장 노동자 및 가족들과 함께 일하게 되었다.

4. 노동 운동과 피의 일요일

thumb 근처의 가폰]]

가폰은 일본 제국 육군아카시 모토지로 대령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1]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공장 및 제분 노동자 회를 조직했다. 이 회는 경찰국과 상트페테르부르크 오흐라나의 후원을 받았으며,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총독이었던 이반 풀론의 지원도 받았다. 이 회의 목적은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하고 그들의 도덕적, 종교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러시아 정교회 신자만 회원 자격이 있었다. 이 조직은 곧 12개의 지부와 8,000명의 회원을 갖게 되었고, 가폰은 활동을 키예프와 모스크바로 확대하려 했다.

1904년 말부터 가폰은 차르 전제 정치 폐지를 옹호하는 급진파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1905년 1월 22일 (구력 1월 9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총파업이 터진 다음 날, 가폰은 차르에게 보내는 청원서를 전달하기 위해 노동자 행진을 조직했다. 이 시위는 경찰이 노동자들에게 발포하면서 비극적으로 끝났고, 이 사건은 피의 일요일로 알려지게 되었다.[2] 가폰의 목숨은 핀하스 루텐베르크에 의해 구원받았는데, 그는 가폰을 총격으로부터 데리고 나와 그의 사제복을 평범한 사람의 옷으로 바꿔 입혔다. 그 후 그는 막심 고리키의 집에 피신했다.[3]

5. 망명과 죽음

가폰은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망명하여 차르에 대한 반역을 외쳤고, 사회혁명당과 연대했다.[4] 그러나 그를 황제파의 스파이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었다.

가폰은 루텐베르크에게 경찰과의 관계를 밝히고 그를 포섭하려 시도했는데, 이는 이중적인 충성이 노동자들의 대의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루텐베르크는 이 사실을 자신의 당 지도자들인 예브노 아제프보리스 사빈코프에게 보고했다. 1906년 3월 26일, 가폰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외곽에 있는 임대 별장에서 루텐베르크와 만나기로 했고, 한 달 후 그곳에서 목을 매단 채 발견되었다. 루텐베르크는 나중에 가폰이 동료 재판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는 3명의 사회혁명당 전투원이 옆방에서 그들의 대화를 엿들었다. 가폰이 자신의 협력 제안을 반복한 후, 루텐베르크는 동료들을 방으로 불렀고 자리를 떠났다. 그가 돌아왔을 때, 가폰은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가폰은 1906년 4월 10일|3월 28일ru에 사망했다.

6. 저작


  • 1905년 1월 22일 차르에게 보낸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동자들의 청원서
  • 《나의 인생 이야기》 (피의 일요일 참사 직후 가폰이 쓴 자서전)

7. 평가 및 영향

가폰은 노동 운동과 피의 일요일 사건을 주도하며 러시아 혁명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러나 경찰과의 협력 관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의 행적, 그리고 죽음을 둘러싼 의혹 등은 여전히 논란거리이다.[1][2][3]

대한민국에서는 가폰의 활동과 피의 일요일 사건이 3.1 운동 등 한국의 독립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특히 3.1 운동 당시 종교계와 지식인들이 민중을 조직하고 평화적 시위를 주도한 방식은 가폰의 활동과 유사하다는 분석도 있다.

참조

[1]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Jonathan Cape 1996
[2] 간행물 Gapon, Georgi Apollonovich (1870–1906) http://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9-01-12
[3] 웹사이트 George Gapon http://www.spartacus[...] Spartacus Educational 2007-02-21
[4] 웹사이트 Father Gapon http://novaonline.nv[...] 2014-06-02
[5] 문서 これらのガポン神父の活動にはロシアの秘密警察オフラーナの資金が用いられていたと言わ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